엽산의 종류와 권장량
엽산이란?
엽산은 비타민의 일종으로, 비타민 B9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DNA 및 적혈구생성과 단백질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엽산은 수용성 비타민이기 때문에 물에 잘 녹고 체내에 흡수가 잘 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태아의 신경과 혈관 발달에 도움을 준다고 하여 임산부들에게 필요 영양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임산부에게 엽산 결핍이 발생했을 때는 태아의 신경관 손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엽산은 4세대까지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엽산의 종류와 특징
1세대 천연엽산은 말 그대로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형태를 말합니다. 천연 재료이다보니 보조인자를 포함하고 있어 흡수율과 생체이용률이 높아 효율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2세대 합성엽산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화학공정을 거쳐 인위적으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하여 엽산을 제조하는 것을 말합니다. 흡수율과 생체이용률은 떨어지지만 가장 많이 공급되고 있는 형태입니다. 판매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대부분은 합성엽산이라고 생각되어 지네요!
3세대는 합성엽산에 칼슘염을 포함한 형태입니다. 식용 허가가 나지 않은 제품이니 우리가 구할 수도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4세대는 활성엽산입니다. MTHF 표기가 되어 있다면 활성엽산입니다. 인체에 흡수가 빠르고 효율이 뛰어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가의 제품으로 출시가 되고 있습니다. 즉각적으로 생체 이용이 가능한만큼 활성화가 뛰어나기 때문에 활성엽산이라고 불려집니다. 우리나라에서 임산부들에게 가장 애용받고 있는 엽산의 종류입니다
구분 | 종류 | 재료 | 특징 |
1세대 | 천연엽산 | 과일 또는 채소의 천연 재료 | 흡수율 및 생체이용률이 높음 |
2세대 | 합성엽산 | 화학공정을 거쳐 천연엽산 분자 구조를 복제해서 제조 | 흡수율과 생체이용률이 낮음 |
3세대 | 메틸테트라히드로 엽산 | 합성엽산+칼슘 | 식품원료로 인정 받지 못함 |
4세대 | 활성엽산(MTHF) | 합성엽산+글루코사민염 | 별다른 대사과정 없이 체내에 바로 이용되는 높은 효율 |
엽산의 권장섭취량
엽산의 권장 섭취량은 일반성인은 400 DFEs 입니다.
미국의 2010년 식이지침에서는 보충제를 통한 섭취보다 식품을 통해 섭취하도록 권장합니다.
엽산은 채소류, 과일류 등의 식품에 자연적으로 존재하거나 두유, 우유 등의 식품에 첨가되어 있기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