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후변화와 탄소중립2

기후변화와 탄소중립2 지난 포스팅에 이어 국내외 대응현황에 대한 글입니다. 국내외 대응현황 세계 각국은 2016년부터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제출했고, 모든 당사국은 2020년까지 지구평균기온 상승을 2도 이하로 유지하고, 나아가 1.5도를 달성하기 위한 장기전탄소발전전략(LEDS*)과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제출하기로 합의하였다. (LEDS와 NDC는 파리협정에 따라서 정해진 목표를 바탕으로 함 : 2도, 1.5도) *LEDS : 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ies(장기저탄소발전전략) **NDC :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5년 주기 제출) 2020년 12월 18일 기.. 2021. 5. 27.
기후변화와 탄소 중립 기후변화 대응의 필요성 1970년대에 기후변화 관리의 필요성이 EU를 중심으로 처음 대두되었다. 즉 온실가스의 영향력과 위험성을 인지한 때라고 하겠다. 1992년 기후변화협약(UNFCCC) 채택 이후 장기적 목표로서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어느 수준으로 억제해야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대두되었다. EU국가들은 1990년대 중반부터 최대 2도 상승으로 억제하자는 목표를 강하게 주장했다. 2007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인 IPCC 제4차 종합평가보고서에 2도 목표가 포함되었다. 그리고 2도 목표는 2009년 제15차 당사국총회(COP15) 결과물인 코펜하겐 합의에 포함되었고, 이듬해 제16차 당사국총회(COP16)시 칸쿤 합의 채택으로 공식화되었다. 교토의정서와 파리협약 국제사회는 선진.. 2021. 5.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