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생에너지3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 1. 그리드 패리티란 무엇인가? 지난 포스팅 말미에 그리드 패리티에 대하여 언급했었다. 화석연료와 재생에너지의 균등화 발전단가(LCOE)(cost/비용)의 전환시점을 의미한다. 나는 골든크로스라 개념을 정립하려 한다. 시사용어 사전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석유 · 석탄 따위를 쓰는 화력발전과 태양 · 바람 등을 이용하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 원가가 같아지는 시기". 그리고 위키백과의 의미를 살펴보면 우리에게 조금 더 친숙한 설명이 가능할 것 같아 가져왔다.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 또는 소켓 패리티(socket parity)는 대체에너지의 단가가 일반 전력회사(화석연료 등)에서 전력을 구입하는 가격보다 작거나 동등한 수준의 비용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상황을 말한다. 이 용어는 재생 가능한 .. 2021. 6. 30.
기후변화와 대응기술 기후변화와 대응기술 - 기후 변화 대처방안 일정한 지역에서 장기간에 걸쳐 나나타는 대기현상의 평균적인 상태를 "기후"라고 합니다. 그리고 기후의 "변화"는 인간의 활동에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 따르면 "장기간에 걸친 기간(수십년 또는 그 이상)동안 지속되면서 기후의 평균상태나 그 변동 속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동 '인간 행위로 인한 것'이든 '자연적인 변동(Variability)'이든 시간의 경과에 따른 기후의 변화를 포괄한다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기후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기후변화의 속도가 비이상적으로 가속화 되어 가고 있는 것이 문제입니다. 지구 안에 살아가고 있는 모든 종족들이 .. 2021. 5. 20.
수소 에너지의 종류와 관련 기술 : 수소 산업의 경제성 해결 방안 수소 에너지의 종류와 관련 기술 -수소 산업의 경제성 해결 방안 안녕하십니까. 수소에너지와 관련해서 제가 수업 중 과제를 생각했던 내용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수소의 종류(Gray, Blue, Green)와 관련기술에 대해 간략히 설명할 것이고 수소 가격 등 수소산업의 경제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를 포스팅하겠습니다^^ 1. 개요 : 수소에너지 정세 수소 사업이 각 국가의 미래 산업으로 부상하면서 2050년이면 수소 시장 규모는 3천 조억원 이상이 되고 수소 관련 일자리는 3천만 개가 생성될 것이라 합니다. 경제적인 측면 외에도 수소 에너지는 전세계 에너지 비중의 18%를 차지하게 되어 화석연료를 부분적으로 대체하면서 이산화탄소 60억톤을 감소시킬 수도 있습니다. 독일은 수소 관.. 2021. 5.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