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탄소중립13

에너지 전환 관련 좋은 논문 소개 에너지 전환 경로로서 공공 협력의 방향 탐색 에너지 전화 시대에 참조하면 좋은 논문이 있어 초록과 서론 부분만 소개합니다. 꼭 읽어보시고 도움을 받이시기를! 구글링으로도 검색 가능합니다! 연구초록 (ABSTRACT) 저자 : 홍덕화(2021) 이 연구는 공공 협력에 기초한 에너지 전환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작성된 논문입니다. 에너지 개발은 우리 모두의 것을 만들어가는 실천적 행동입니다. 탄소중립이 시행되면서 정치와 이념, 경제를 넘어서 에너지 공동체를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와같은 재개념화를 토대로 에너지 커먼즈의 시각에서 에너지 공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업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공동체 에너지와 에너지 공기업의 협력을 확대할 방안을 모색한다고 저자는 언급합니다. 공적투자 확대, 공동체 에너지 활.. 2022. 2. 15.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 1. 그리드 패리티란 무엇인가? 지난 포스팅 말미에 그리드 패리티에 대하여 언급했었다. 화석연료와 재생에너지의 균등화 발전단가(LCOE)(cost/비용)의 전환시점을 의미한다. 나는 골든크로스라 개념을 정립하려 한다. 시사용어 사전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석유 · 석탄 따위를 쓰는 화력발전과 태양 · 바람 등을 이용하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 원가가 같아지는 시기". 그리고 위키백과의 의미를 살펴보면 우리에게 조금 더 친숙한 설명이 가능할 것 같아 가져왔다.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 또는 소켓 패리티(socket parity)는 대체에너지의 단가가 일반 전력회사(화석연료 등)에서 전력을 구입하는 가격보다 작거나 동등한 수준의 비용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상황을 말한다. 이 용어는 재생 가능한 .. 2021. 6. 30.
에너지 기술별 발전비용 비교 에너지 발전 비용의 중요성 지난 번 포스팅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사용량에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세부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기술 분야별로 발전비용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발전비용이 중요한 이유는 에너지 기술의 상용화 유무에 주요한 요인이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뛰어난 기술이라할지라도 경제성이 뒷받침 되지 않는다면 기술이론에 불과합니다. 우리 생활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개발비용과 상용화비용의 경제적 우수성이 뒤따라야합니다. 예를들어 수소 에너지 종류 중 그린수소는 현재까지 상용화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것은 그린수소 생산 비용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 관련 기술 개발은 계속 연구 중에 있습니다. 발전비용 즉 전력생산비용이 왜 중요한 것인지 개념을 확인 후 관련 표를.. 2021. 6. 1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이란? *(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y) 우리나라 환경부에서는 2021년 01월 05일 부처 공식홈페이지에 '2050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를 공시했다. 장기저탄소발전전략이란 파리협정 목표인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2도 보다 훨씬 아래(Well below)로 유지하고, 나아가 1.5도로 억제하기 위한 국가의 부문별 비전 및 전략을 수립 이행을 말한다. 즉 2050년 경 탄소 중립(Net Zero)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수립이라고 하겠다. 파리협정은 기후변화 대응 정책의 장기적 비전 관점에서 각 당사국에서 장기저탄소발전전략을 수립하도록 권고하기도 했다. 환경부에서 공시한 내용을 살펴보.. 2021. 5. 27.
반응형